비만이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언뜻 보아도 매우 뚱뚱한 아이는 쉽게 비만아라고 할 수 있지만 보통 의학적인 비만아의 정의는 체중이 신장별 표준체중보다 20%이상 될 때로 합니다.
아래와 같은 공식으로 비만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비만도(%) = (실제체중 - 신장별 표준체중) / 신장별 표준체중 X 100
비만도가 20-30%는 경도비만, 30-50%는 중등도비만, 50% 이상은 고도비만입니다.예를 들어 어떤 5세 남아의 키는 109cm, 체중은 25kg 라고 하면
이 아이의 신장별 표준체중은 19kg( 참조)로 비만도는 25(kg) - 19(kg) / 19(kg) X 100 = 31 % 로 중등도 비만에 해당되는 것입니다.
체질량 지수(BMI, Body Mass Index : kg/m2)는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누어 성별 및 연령에 따라 비교하는 방법이나 6세 미만의 소아에는 적용하지 않습니다.
체질량지수는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누어 구합니다. 소아청소년 표준성장도표 2007을 사용하여, 체질량지수가 85~95 백분위수에 해당하면 과체중, 95 백분위수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합니다.
(바른성장.kr)
체질량지수 = 체중(kg) / 키(m)2
소아비만이 나타나는 시기는 주로 1세 미만의 영아와 5-6세 및 사춘기에 잘 생기며 반수이상이 6세 이전에 나타납니다. 어떤 이유든지 섭취한 에너지가 소모되는 에너지보다 많으면 초과된 에너지가 지방으로 축적되어 비만이 초래됩니다.
소아비만이 문제가 되는 가장 큰 이유는 비만한 아동은 성인이 되어서도 비만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입니다. 비만 청소년의 약 80%가 비만한 성인이 된다고 합니다.
다른 이유로는 비만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합병증 즉 고혈압, 고지혈증, 지방간, 당뇨병 같은 성인 질환들이 이미 소아기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고지혈증은 심근경색증과 같은 관상동맥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데 비만아동은 동맥경화의 촉진인자인 혈중에 콜레스테롤치와 LDL 콜레스테롤은 상승되고 동맥경화를 억제하는 HDL 콜레스테롤은
저하되어 동맥경화가 어린 시기부터 시작될 수 있습니다. 비만은 소아 청소년기 고혈압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고혈압이 있는 비만 청소년은 약 25% 가
7년 이내에 고혈압에 의한 뇌혈관 또는 심혈관 계통의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또한, 비만증이 있으면 섭취한 당분을 우리 몸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이 생겨서 성인형 당뇨병이 생길 수도 있으며, 자신의 외모에 대한 열등감과 자신감의 결여,
운동능력의 저하 등으로 점차 소극적이 되고 비사교적인 생활태도를 보여 사회생활에 많은 지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대한소아내분비학회에서 고도비만아 324명을 대상으로 합병증의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고지혈증 61.7%, 지방간 38.6%, 고혈압 7.4%, 당뇨병 0.4%로 매우 높은 유병률을 나타내고 있어서 소아비만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줍니다.
소아 비만의 치료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행동교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약물요법은 12세 이상의 소아비만에서 6개월 간의 식이, 운동, 행동교정에도 호전이 없는 체중 증가에서 고려하게 됩니다. 수술요법은 소아에는 원칙적으로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비만 성인의 경우에 비만치료가 끝난 5년 후까지 감소한 체중을 유지하는 사람이 불과 5% 미만입니다. 그만큼 비만의 치료는 어려우며 비만에 대한 최선의 방법은 예방인 것입니다.
소아 비만에서 영아시기에는 잘 먹는다고 과도한 양의 우유를 주면 비만해지기 쉬우므로 계획에 따라 일정량을 먹여야 하며 정기적으로 몸무게를 재서 과체중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유치원이나 초등학생의 경우에는 열량이 높은 햄버거, 피자 같은 패스트후드나 설탕이 많이 함유된 단 음료수를 적게 먹고, TV나 컴퓨터 시간을 제한하며 야외활동 시간을 늘려야합니다.
아파트에 산다면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한다든지 가까운 거리는 차를 타지 않고 가족이 함께 걸어다니는 습관이 바람직합니다.
그리고 만일 아이가 이미 중등도 이상의 비만이라면 성인형 합병증이 올 수 있으므로 전문의를 찾아 합병증 유무를 검사 받고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하여 진찰을 받는 것이 꼭 필요합니다.
신장(cm) | 표준체중(kg) | 신장(cm) | 표준체중(kg) | ||
---|---|---|---|---|---|
남자 | 여자 | 남자 | 여자 | ||
101 | 16.32 | 16.09 | 126 | 26.30 | 25.88 |
102 | 16.63 | 16.37 | 127 | 27.00 | 26.67 |
103 | 16.90 | 16.48 | 128 | 27.74 | 27.01 |
104 | 17.23 | 16.99 | 129 | 28.45 | 27.76 |
105 | 17.52 | 17.42 | 130 | 29.20 | 27.99 |
106 | 18.00 | 17.70 | 131 | 29.66 | 29.03 |
107 | 18.01 | 18.16 | 132 | 30.38 | 29.86 |
108 | 18.57 | 18.22 | 133 | 30.95 | 29.71 |
109 | 19.12 | 18.61 | 134 | 31.18 | 30.69 |
110 | 19.20 | 18.97 | 135 | 32.53 | 31.70 |
111 | 19.56 | 19.37 | 136 | 33.25 | 32.31 |
112 | 20.06 | 19.79 | 137 | 33.82 | 32.33 |
113 | 20.31 | 19.99 | 138 | 34.31 | 33.46 |
114 | 20.70 | 20.66 | 139 | 34.96 | 34.29 |
115 | 21.06 | 21.09 | 140 | 35.94 | 34.83 |
116 | 21.51 | 21.23 | 141 | 36.93 | 35.76 |
117 | 22.01 | 21.48 | 142 | 37.55 | 36.31 |
118 | 22.36 | 21.92 | 143 | 38.09 | 36.47 |
119 | 22.89 | 22.49 | 144 | 39.34 | 37.96 |
120 | 23.16 | 23.07 | 145 | 40.19 | 39.00 |
121 | 23.76 | 23.45 | 146 | 41.23 | 40.04 |
122 | 24.48 | 23.85 | 147 | 41.15 | 41.31 |
123 | 24.80 | 24.55 | 148 | 42.37 | 42.68 |
124 | 25.36 | 25.00 | 149 | 43.36 | 42.78 |
125 | 25.77 | 25.43 | 150 | 43.64 | 45.01 |